'내것'도 없으며, 진실한 것도 없다.
이번 생 잠시 인연따라 나왔다가
인연이 다 되면 인연따라 갈 뿐이다.
장작 두 개를 비벼서 불을 피웠다면
불은 어디에서 왔는가.
장작 속에서 왔는가, 아니면 공기중에서,
그도 아니면 우리의 손에서 나왔는가,
아니면 신이 불을 만들어 주었는가.
다만 공기와 장작과 우리들의 의지가 인연화합하여
잠시 불이 만들어 졌을 뿐이고,
장작이 다 타고 나면 사라질 뿐이다.
이것이 우리 몸을 비롯한 모든 존재의
생사(生死)이다.
불을 어찌 고정된 실체라 할 수 있겠으며,
‘나’라고 내세울 수 있겠는가.
다만 공한 인연생 인연멸일 뿐이다.
여기에 내가 어디있고,
내 것이 어디 있으며 진실한 것이 어디 있는가.
다 공적할 뿐이다. 이 몸 또한 그러하다.
인연따라 잠시 왔다가 인연따라 잠시 갈 뿐.
‘나’도 없고, ‘내 것’도 없다.
그러할진데 어디에 집착하고,
무엇을 얻고자 하며, 어딜 그리 바삐 가고 있는가.
갈 길 잠시 멈추고 바라볼 일이다.
<화엄경> / 좌불상님 제공
+ 인생이란 그런 것 / 김시천
살다 보면 하나 둘쯤 작은 상처 어이 없으랴.
속으로 곯아 뜨겁게 앓아 누웠던
아픈 사랑의 기억 하나쯤 누군들 없으랴.
인생이란 그런 것.
그렇게 통속적인 일상 속에서
가끔씩 아련한 상처 꺼내어 들고
먼지를 털어 훈장처럼 가슴에 담는 것.
그 빛나는 훈장을 달고 그리하여 마침내
저마다의 그리운 하늘에 별이 될 때까지
잠시 지상에 머무는 것.
마이어스/카바티나
출처 :무진장 - 행운의 집 원문보기▶ 글쓴이 : 유당
'마음의 양식 > 부처님 곁으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화무소화분 종범스님 (0) | 2018.12.14 |
---|---|
아라한과 부처님 (0) | 2018.12.11 |
기도가 가장 쉬워요 (0) | 2018.12.09 |
운명을 바꾸는 법(改造命運) (0) | 2018.12.06 |
가슴과 머리의 조화 (0) | 2018.12.02 |